전체보기 (324) 썸네일형 리스트형 성토(盛土) Banking 흙을 깎아내 버리는 절토와 반대되는 개념이다. 흙쌓기라고도 한다. 도로 확장, 건축 대지 조성 등을 위하여 흙을 지반 위에 까는 것을 말한다. 다짐 공사를 충분히 하지 않으면 나중에 지반이 붕괴할 위험이 있기 때문이다. 큰 공사일 경우 그 공사에서 나온 절토한 흙을 성토로 이용하기도 한다. 철도나 도로 등에서의 흙쌓기는 축제(築堤)라고 한다. 절토(切土) Cutting 땅깎기라고도 한다. 토지의 형질을 평지나 평면으로 만들기 위해 변경하는 행위이다. 경사면을 만들 때도 절토란 단어를 쓴다. 도로 확장, 시설물 건축 등 세워야 할 계획구역에 있는 높은 지형을 깎거나 기반을 다지기 위하여 흙을 파내는 행위도 포함된다. 주로 산을 절토한 흙은 돈을 받고 파는데 산 속의 낙엽이 썩으면서 거름이 되기 때문이다. 터파기 Trench 구조물의 기초를 만들기 위한 굴착. 건축물의 기초 부분이나 도로확장, 지하실 등을 만들기 위해 흙을 굴착하여 공간을 만드는 행위이다. 터파기는 자연상태의 흙을 파 내려가는 것이기 때문에 흙막이지보공을 설치하거나 적당한 경사면을 주어야 한다. 폐기물 시료 채취 후 용기에 기재해야 할 사항들 폐기물의 명칭 대상 폐기물의 양 채취한 장소 채취 시간 및 일기 시료번호 채취책임자 이름 시료의 양 채취방법 보관상태 위의 것들 외의 기타 참고 자료 노나카 이쿠지로(野中 郁次郎) - 나선형 프로세스(Spiral Process) 노나카 이쿠지로(이하 이쿠지로)는 지식을 재 형태에 따라 '형식지'와 '암묵지'로 구분 지었다. 먼저 암묵지(Tacit Knowledge)란 경험과 학습을 통해서 개인에게 체화되는 지식을 말하며 명료하게 표현할 수 없는, 외부로 드러나지 않는 지식을 말한다. 반면에 형식지(Explicit Knowledge)는 정형화되고 문자화된 지식을 말한다. 대표적으로 신문, 비디오 등을 예로 들 수 있겠다. 거칠게 말하면 암묵지는 일종의 기술이나 경험을 뜻하고, 형식지는 교과서나 공정시험법 같은 매뉴얼을 뜻한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형식지와 암묵지의 논의는 이쿠지로 이전에도 있었지만 이쿠지로는 이 둘의 구분에서 그칠 것이 아니라 나아가 서로 영향을 주는 연속체로 봐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것이 바로 나선형 프로세스이.. 이전 1 ··· 42 43 44 45 46 47 48 ··· 6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