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보기

(324)
파상형 Looping 연기의 형태 파상형 Looping 훈증형 Fumigation 상승형 Lofting 구속형 Trapping 원추형 Coning 부채형 Fanning 굴뚝에서 연기가 퍼져 확산하는 모양 중 하나. 환상형이라고도 한다. 온도가 높이에 따라 급격히 감소하면서 대기상태가 불안정하게 되고, 이에 난류가 더해져 연기가 파동모양으로 분산되는 형태이다. 풍속이 강해 난류가 심해졌을 때 잘 발생한다. 연기가 상하로 혼합운동을 하므로 오염물질 농도는 빨리 확산하는 편이다. 최대착지거리는 가까운 편이다. 지표면에 닿는 경우 지상오염농도가 높아지는데, 이는 굴뚝이 낮을수록 더 심각하다.
공동이행제도 JI : Joint Implementation 교토메커니즘의 한 종류이다. 선진국 간에 온실가스 감축을 공동 수행해도 인정된다는 내용이다. A 국가가 B 국가에 투자해서 B 국가의 온실가스량이 줄었다면 이 줄어든 온실가스의 일부를 A 국가의 감축 실적으로 인정해주는 것이다.
대기오염지수 API : Air Pollution Index 각종 오염물질의 대기 중 농도를 종합산정하여 1~5의 지수로 표현해 일반 국민이 쉽게 알 수 있도록 한 지표이다. 자주 사용되는 지표는 아니며, 대한민국의 경우 CAI값에 근거한 AQI를 주로 사용한다. 오염도 상태 1 대기가 깨끗한 자연상태 2 대기가 약간 오염된 상태 3 대기가 인체와 동식물에 피해를 주기 시작하는 상태 4 대기가 심하게 오염된 상태 5 대기가 사람이 피해야 할 정도로 극심하게 오염된 상태
빌딩 증후군 SBS : (Sick) Building Syndrome 빌딩 내 밀폐된 공간에서 오염 물질에 노출되어 나타나는 부정적 현상들을 총칭한다. 현기증이나 두통, 기관지염, 천식, 불쾌감, 졸음과 같은 신체적 불편뿐만 아니라 무기력, 집중력 감소와 같은 정신적 피로까지 빌딩 증후군으로 볼 수 있다. 밀폐된 공간에서는 산소의 저농도화와 오염된 공기의 지속적인 순환이 발생하며, 미세먼지와 매연 같은 외부의 오염 물질원으로 환기를 꺼리는 원인과 함께 발생한다. 이뿐만 아니라 단열 건축자재로 쓰이는 라돈, 포름알데히드, 석면 등은 실내 공기질을 저하하며, 과난방과 너무 밝거나 어두운 조명 역시 빌딩 증후군의 한 원인이 된다. 2~3시간 간격으로 창문 환기하기, 실내에 공기 정화 식물을 심기, 공기청정기를 사용하기 등 여러 대책이 있지만, 모두 근본적인 대책들은 아니다.
광종속영양생물(光從屬營養生物) Photoheterotrophs 생명체가 에너지와 탄소원을 어떻게 얻느냐에 따라 분류된 종류 중 하나. 태양광선을 에너지원으로 이용하고, 유기화합물을 탄소원으로 이용하는 생물을 말한다. 대표적인 생물로는 남색 및 녹색 박테리아(purple and green bacteria)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