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보기

(324)
우세(雨洗) Rainwash 강우로 인해 지표의 토양·토사가 유실되는 현상이다. 강우세척(降雨洗滌), 우식(雨蝕)이라고도 한다.
조립자 Coarse Particle 조대입자라고도 한다. 입자분포를 갖는 입자군 중에서 비교적 굵은 입자물질을 의미한다. 50μm 이상의 입자를 조립자로 보는 경우도 있다. 하지만 조립 입자의 지름은 전체의 입자분포에서 상대적으로 결정되는 것이기 때문에 50μm이라는 수치가 크게 의미 있지는 않다. 대기 중 조대 입자는 대부분 자연적, 기계적 분쇄과정을 거쳐서 생성되는데, 바람에 날린 흙 같은 것이 그 예이다. 앞서 말했듯, 상대적으로 굵은 편이기 때문에 무게가 꽤 있는 편이다. 그렇기에 중력 집진 장치로 쉽게 처리할 수 있다. 빠르고 쉽게 가라앉기 때문에 대기오염에 대한 영향은 크지 않은 편이다.
상승작용(相乘作用) Synergism, Synergistic Effect '시너지 효과'가 바로 상승작용이다. 각자 관찰하고자 하는 방향은 다르지만, 약학, 식품공학, 화학, 환경공학, 심리학에서 두루 쓰이는 작용이다. 상승작용은 두 종류 이상의 물질의 효과가 각각 단독으로 투여, 폭로, 사용될 경우보다 더 효과가 높아진다는 작용을 말한다. 즉, 몇 가지 요인들이 겹침으로써 그것들이 독립적으로 작용할 때보다 그 효과가 더욱 커지는 현상을 말한다. 대기 오염에서는 SOx가 부유 먼지와 더불어 상승작용을 일으키는 것이 대표적인 예이다. 또, 아황산가스와 황산미스트를 동시에 흡입한 경우가 각각을 단독으로 흡입한 것보다 훨씬 강하게 나타나는 것도 바로 이 상승작용의 한 예이다. 대기오염의 경우는 가스가 혼합해서 존재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상가작용 혹은 상승작용이 일어날 가능성이 매우..
상가작용(相加作用) Additive Action 2종 이상의 약물을 투여하였을 때에, 그 작용이 2종의 작용을 합친 것과 같이 나타나는 현상이다. 예를 들면, A라는 약이 2라는 '어떤 무차원의 효과'를 나타내고 B라는 약이 4라는 효과를 나타낸다면, 이 둘을 투여했을 때, 6의 효과가 나타나는 현상을 말한다. 대기오염의 경우, 대기 중 오염인자가 한 종류가 아닌 2종 이상 혼재하는 경우에 인체에 대한 유해성이 상가작용하는 현상을 볼 수 있다. 단일오염물질보다 복합오염물질일 경우 피해가 더 크게 나타나는 이유는 바로 상가작용과 상승작용 때문이다.
이류역전 advectional inversion 이류역전은 지표역전의 한 종류이다. 이류역전은 따뜻한 공기가 차가운 지표면 위로 흘러갈 때 발생한다. 따뜻한 공기층보다 상대적으로 차가운 지표면에 의해 그 위층이 냉각됨으로써 발생하는 것이다. 주로 해안지역에서 차가운 바다 위로 바람이 불어서 발생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