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보기 (324) 썸네일형 리스트형 생물감시법(生物監視法) Biomonitoring 생물을 이용함으로써 오염 정도를 평가 · 해석하는 방법이다. 생물모니터링 혹은 바이오모니터링이라고도 한다. 생물감시법은 이미 현장에서 오염에 노출된 생물을 조사하여 상황을 평가하는 방법이며, 생물경보체제는 상수원같이 오염 여부를 즉시 파악해야 하는 곳에 생물을 인위적으로 키우며 그 생물의 변화를 가지고 오염상태를 빠르게 검사하는 방법이다. 생물경보체제(生物警報體制) Biomonitoring system 생물경보체제는 바이오모니터링 시스템과 같은 말이다. 하천, 특히 상수원에 중금속 혹은 유해 물질이 흘러들었을 때, 이를 수질자동측정 장치로 감지 · 경보하는 시스템을 말한다. 수질자동측정 장치는 정확하고 예민하게 반응하는 생물을 검지소자(檢知素子)로 사용하기 때문에 생물경보체제라는 말이 붙었다. 생물을 이용한 측정장치를 사용하는 이유는 화학센서보다 감지가 더 우수하며, 작동속도가 빠르기 때문이다. 이 장치의 원리는 우선 검지소자로 사용된 생물의 반응을 전자통제장치에 입력시켜놓고, 독성물질의 농도가 증가하면서 일어나는 일련의 변화 한도를 측정해 경보를 울리게 하는 것이다. 검지소자로는 물을 거슬러 오르는 역류성 어류인 잉어, 금붕어, 무지개송어, 물벼룩 등이다. 일련의 변화 측정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농부증(農夫症) Farmer Disease 주로 중년 이후의 농부에게 나타나는 증후군이다. Farmer Syndrome이라고도 한다. 오랜 기간 농사일을 하며 일어나는 신체적 증상뿐만 아니라 정신적 증상도 모두 일컫는 광범위한 증후군이다. 그렇기에 원인도 상당히 다양하다. 어깨가 결리거나 두통이나 귀울림, 숨찬 증세 등도 농부증의 증상으로 보기도 하며 불면증, 야뇨증, 현기증, 소화불량, 요통 등도 농부증일 수 있다. 농부증을 장시간 내버려두면 신경통, 류머티즘 등으로 번진다. 과로나 비위생, 비타민 B1 부족 등을 주된 원인으로 보고 있다. 이러한 농부증은 농민의 건강 수준을 파악하거나 농촌 위생상의 평가에 대한 지표가 될 수 있다. 충분한 휴식과 영양섭취로 농부병을 예방할 수 있다. 다미노지드 Daminozide 아미노지드(aminozide)라고도 한다. 일반명은 다미노지드이다. 알라(Alar)라고도 불렸다. 또, 비나인(B-nine)으로도 알려졌다. 다미노지드는 농약 성분의 하나이며, 1962년에 생물 생장조절제로의 효과가 인정되어 많이 사용되었다. 주 효과는 농작물의 낙과 방지, 화초의 성장억제용, 채소나 과실의 수확량 증대, 과실의 질 향상, 거봉의 착립 증가 등이다. EPA에서 다미노지드가 사용된 사과를 쥐에게 먹이는 실험을 했었는데, 이 실험에서 발암성이 있다고 판명되었다. 이후 '89년부터 생산과 사용이 금지되었다. 산성안개 Acid Fog 대기 중에 질산이나 황산 등의 오염물질이 안갯속의 수분과 합쳐져 짙은 산성을 나타내는 것을 말한다. 보통 안개 입자는 빗방울보다 작다. 따라서 안개 입자는 물방울에 비해 더 강한 산성을 갖게 된다. 이는 농도의 차이 때문이며, 큰 물방울과 작은 물방울에 일정한 먹물을 떨어뜨리는 것으로 비유할 수 있다. 농도의 차이 때문에 작은 물방울이 큰 물방울보다 더 검은색을 띄는 것을 볼 수 있다. 실제로 안개는 빗방울보다 적게는 10배 많게는 100배가량 농도가 높으며, 보통 30~50배의 차이를 보인다. 산성비와 마찬가지로 강(river)의 pH도 떨어뜨린다. 산성비보다 식물에 더 해악을 끼친다. 잎 주위에 계속 부유하고 있기 때문이다. 인체에도 해롭다. 호흡기 질환, 천식, 폐기종, 호흡곤란, 눈병 등을 유발할.. 이전 1 ··· 44 45 46 47 48 49 50 ··· 6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