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보기 (324) 썸네일형 리스트형 고이아니아 사건 Goiânia accident - 사건 내용 체르노빌 사건의 상처가 채 가시기도 전에 발생한 브라질 고이아니아에서 일어난 방사능 사건. 적은 양의 방사성 물질도 엄청난 피해를 일으킬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 끔찍한 사건이다. 사건 내용 1985년, 브라질 고이아니아의 민간방사선치료 클리닉이 새 건물로 이전하면서 암 치료에 사용하던 방사선 치료기기를 놓고 떠나게 된다. 이 낡은 건물의 철거 과정에서 건물주와 의료원 간의 법적인 분쟁이 발생하여 철거가 지연되었고, 이에 클리닉 관계자들이 원자력 위원회에 자신들이 놓고 간 방사선 암 치료기기의 위험성을 알리는 편지를 보낸다. 하지만 이미 법원에서 철거의 과정을 당분간 금지하는 판결이 떨어졌기에, 이 치료기기는 경비원이 지키는 가운데 철거되지 못하고 남아있을 수밖에 없었다. 이 방사선 암 치료기기는 1971.. 1978년 아모코 카디즈 석유 누출사고 1978 Amoco Cadiz oil spill 佛西北海岸(불서북해안) 美大型탱커좌초 22萬t原油流出(미대형탱커좌초 22만t원유유출) 最惡의 海上汚染(최악의 해상오염)[각주:1] - 동아일보 사건 내용 1978년 3월 16일 밤, 초대형 22만 톤급 유조선 아모코카디즈호[각주:2]가 중동산 원유를 만재하고 항해하다 항로 조종키의 고장으로 항로를 이탈하여 프랑스 어촌 포트샬(Portsall) 앞바다 3km에서 좌초한 사건이다. "no longer manoeuvrable" - 당시 메세지 좌초하여 침몰하는 선박을 구하기 위해 예인선을 빌리는 과정에서 아모코 카디즈의 선장인 파스칼레와 독일 인양업자 바이네르트의 계약조건 협상이 진행되었는데, 이 과정에서 많은 시간이 지체되어 결국 구조에 실패하였다. 결국, 다음날인 17일 10시경 선체는 두 동강이 났으며,.. 욧카이치 천식 사건 Yokkaichi Asthma 욧가이치 천식 사건, 요카이치 천식 사건이라고도 한다. * 아래 참조 이 사건은 이산화황, 이산화질소, 포름알데하이드 등으로 인해 벌어진 일본의 4대 공해사건 중 하나이다. 사건 내용 욧카이치 시는 종합 석유 공업단지로 지정되면서 1956년 정유공장 건설을 시작으로 각종 석유 관련 산업의 공단이 시의 근간이 된다. 이 단지의 절정기는 1959년으로, 본격적인 가동은 이때부터라 봐도 무방하다. 이 석유 공단의 가동 직후부터 욧카이치 시민들은 악취와 매연에 시달리며, 일부는 천식이나 만성기관지염 등 호흡기질환 증상을 보였다는 기록을 찾을 수 있다. 이에 욧카이치 시는 1960년 10월에 공해방지 대책위원회를 발족시켜 대기가 이산화황, 이산화질소, 포름알데히드 등으로 심각히 오염되어 있으며 주민건강의 문제도 .. 로지스틱 곡선을 이용한 인구 추정법 Logistic function : Modeling population growth 논리곡선법, 이론법, S곡선법, 포화인구 추정법이라고도 한다. 이 방법은 인구가 무한년 전에 0이고, 증가율이 점차 증가하여 중간 시점에서 최대의 증가세를 보이고, 그 후 증가율이 점차 감소하여 무한년 후에는 포화한다는 논리 곡선 이론에 기초한 방법이다. 포화인구를 추정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지만 대체로 인구변화와 잘 맞아 널리 이용된다. 중간 점인 K/2지점이 증가율이 최대인 지점이다. 경사가 가파른 것을 볼 수 있다. $f(t) = \frac{K}{1+e^{\alpha -\beta t}}$ 여기서 $f(t)$ = 기준년으로부터 t년 후 인구수 $t$ = 기주년으로부터 경과 년수 $K$ = 커브의 최대값, 여기선 포화인구를 뜻함. $e$ = 자연로그의 밑 α, β = 상수 $y = f(t) = \fra.. 스페로틸러스 나탄 Sphaerotilus natans Kingdom (계) Bacteria Phylum (문) Proteobacteria Class (강) Betaproteobacteria Order (목) Burkholderiales Family (과) Comamonadaceae Genus (속) Sphaerotilus Species (종) S. natans 학명 Sphaerotilus natans 스페로틸러스 나탄은 오염된 물에서 찾아볼 수 있는 수중 부착생물 중 하나이다. 실같이 길게 성장하며, 하수의 돌이나 막대기에 붙어 서식한다. (1~2) x (3~8)㎛의 원통상 균체이며 영양원이 적은 유수에서 증식에 유리하다. 당이나 유기산을 먹이로 삼으며, 소량의 인만 있으면 살아갈 수 있다. 또한, 호기성 종속영양생물임에도 낮은 DO 환경에서도 서식할 수 .. 이전 1 ··· 24 25 26 27 28 29 30 ··· 6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