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보기 (324) 썸네일형 리스트형 선천적 행동과 학습된 행동, 로렌츠와 틴베르헌의 실험으로부터 이 글은 2011년 09월 27일에 썼던 글을 수정, 보완한 글입니다. 콘라트 로렌츠, 니콜라스 틴베르헌, 이 둘은 동물행동학이라는 학문을 확립하는데 수많은 연구와 업적을 남긴 대표적인 학자들이다. 로렌츠와 틴베르헌이 특히 주목한 부분은 본능과 학습이었는데, 이 둘은 거위와 큰가시고기의 실험을 통해 본능이 학습으로 만들어진다는 당시의 통념에 새로운 시선을 부여했다. 이들은 본능과 학습에 대해 무슨 실험을 해서 어떤 결과를 얻었는가? 그리고 본능과 학습은 어떻게 구분할 수 있는가? 이 글에선 이 두 개의 논의를 살펴보고자 한다. ▲자리를 함께하고 있는 로렌츠(왼)와 틴베르헌(오) This imgae is from en.wikipedia.org 본능과 학습이란 무엇인가? 본능은 ‘선천적(innate) 행동’.. 침전물 산소요구량 SOD : Sediment Oxygen Demand 수중 침전물의 표면에 존재하는 유기물이 호기성 미생물에 분해되면서 소비되는 수중 산소량을 말한다. 따라서 침전물이 대부분 무기물로 이루어져 있다면 SOD는 낮게 측정된다. 침전물이 많이 쌓이면 물과 인접하는 표면은 호기성 반응이, 그리고 인접하지 않는 곳은 혐기성 반응이 일어나기도 한다. 어떤 물리적 반응으로 내부의 층이 뒤집혀 부상하면 물속의 산소를 한 번에 모두 소모해버릴 위험성을 가지고 있다. SOD 수치가 가장 낮은 것은 모래 하상이며, 하구 펄, 도시하수 유입구, 슬러지 순으로 SOD가 높아진다. 산호 1 - 산호란 무엇인가? 2011년에 쓴 것을 2016년에 수정함. 제주도에 아열대 산호가 빠르게 퍼지고 있다는 뉴스는 대한민국도 지구 온난화로부터 안전지대가 아님을 보여주는 하나의 예시이며, 우리가 산호에 대해 더는 무관심할 수 없다는 표징이기도 하다. 이에 이 글에선 산호에 대한 기본적인 상식과 산호로 얻을 수 있는 여러 경제 효과를 논의해보고자 한다. 산호란 무엇인가? 많은 사람이 산호와 산호초가 동의어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산호초는 산호에 의해 만들어진 ‘암초’를 의미한다. 또한, 산호는 따뜻한 물에서만 서식한다는 소리도 옳지 못하다. 산호는 극지 바다나 심해에서도 살아가며, 햇빛이 강하고 바람이 거의 없는 적도 부근에서도 살아가는 등 따뜻한 지역에서만 서식한다고 단정 짓긴 어렵다. 이처럼 산호에 대한 잘못된 지식은 유독.. 유리 기구 공정시험기준에서 사용하는 모든 유리기구는 KS L 2302 이화학용 유리기구의 모양 및 치수에 적합한 것 또는 이와 동등 이상의 규격에 적합한 것으로 국가 또는 국가에서 지정하는 기관에서 검정을 필한 것을 사용하여야 한다. KS L은 KS(한국산업표준)에서 L(요업)로 분류된다는 의미이다. 이 규격의 표준명은 '이화학용 유리 기구의 모양 및 치수(Shape and dimension of glass apparatus for chemical analysis)'이며, 실험에 사용되는 기구들은 이 규격에 적합해야 한다. 잔류 부피 RV : Residual Volume 잔류 용량, 잔기량, 잔기율 등으로도 불린다. 숨을 최대로 내쉬어 날숨을 지속하지 못하는 상태가 되어도, 폐에는 허파꽈리의 흡착을 방지하고자 공기가 잔류하는데 RV는 이 공기의 양을 일컫는 말이다. RV의 수치는 대개 800~1,500㎖를 나타내며, 정상인은 1,200㎖ 정도이다. RV = FRC(기능적 잔기량) - ERV(예비호기량) 호흡기는 독성물질이 침투하는 경로 중 하나이다. 독성물질을 들이마신 후 바로 내뱉어도 독효가 빠르게 제거되지 않는 이유는 바로 이 잔류 부피 때문이다. 호흡기질환이나 노화로 인해 RV가 증가하는 경우가 있다. 당연히 RV가 높을수록 호흡기 독성에 더 취약하다. 이전 1 ··· 22 23 24 25 26 27 28 ··· 6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