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보기 (324) 썸네일형 리스트형 평균값 mean value - 산술평균 arithmetic mean 분석 화학에서 주로 쓰는 평균은 산술평균으로 다음과 같이 정의할 수 있다. $\overline{x} = \frac{x_{1} + x_{2} + x_{3}+\cdots x_{i} \cdots +x_{n}}{n} = \frac{\sum_{i=1}^{n}x_{i}}{n}$ $x_{i}$ : 개별적인 측정값$n$ : 측정 횟수 측정 분석 값의 분포가 대칭적이면, 평균값은 전체 데이터 집합을 대표할 수 있는 최적의 통계수치가 된다. 참값 True result 참값이란 오차나 편의가 없는 값을 일컫는데, 사실상 존재할 수 없다. 분석 결과에는 어느 정도의 불확실성이 항상 존재하기 때문이다. 표준검정물질을 사용하던, 정밀한 실험 도구를 사용하던 분석의 준비 과정이나 실험 도중 불확실성은 무조건 포함되므로 온전한 참값은 구할 수 없다. 만약 어떤 분석법을 평가해야 한다면, 표준검정물질을 사용하여 얻은 결과를 참값으로 '가정'한다. 즉, 참값은 추상적인 개념이다. 정성분석과 정량분석의 차이 분석은 목적에 따라 정성분석 혹은 정량분석으로 구분할 수 있다. 시료가 어떤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는지 알아내거나 시료 내의 특정 화학 물질의 유무를 확인하기 위한 경우에 하는 분석을 정성분석(qualitative analysis)이라 한다. 정량분석(quantitative analysis)은 이름에서도 알 수 있듯이 어떤 성분의 양을 측정하는 경우를 지칭한다. 거칠게 말하면, 어떤 음료에 설탕이 들었는지 아닌지 확인하는 것이 정성분석, 설탕이 얼마나 들었는지 측정하는 것이 정량분석이라 하겠다. 따라서 주로 정량분석보다 정성분석이 먼저 시행된다. This image is from en.photo-ac.com 이렇게 정량분석과 정성분석을 구분하는 것은 어렵지 않지만, 실제 분석 실험에선 명확하게 구분되지 않.. 아로마코로지, 아로마콜로지 Aromacology 향기를 나타내는 Aroma와 심리학을 나타내는 Psychology의 합성어로, 냄새를 맡았을 때 나타나는 인간의 생리 · 심리 혹은 그것을 연구하는 분야를 통칭한다. 이 용어는 1982년, 향과 심리 사이의 관계를 연구하기 위해 Olfactory Research Fund 1) 에서 만든 단어이다. 이들은 향이 인간에 미치는 영향을 증명하기 위해 과학적인 측정을 중시했는데, 일례로 향에 의한 동공 반응, 뇌파 반응, 혈압 반응 등을 측정에 사용했다. 악취를 맡게 되면 식욕이 감퇴하고 무의식적으로 호흡을 멈추는 반응도 아로마콜로지라고 볼 수 있다. 아로마콜로지는 화장품이나 향수와 같은 Aroma뿐만 아니라 악취공해의 규제에도 적절히 사용될 수 있다. 1) 현재는 SSI : Sense of Smell Inst.. 상자모델 - 환기가 안 될 때의 농도와 물질수지식 (CSTR일 경우) 그림의 상자 내 초기 농도를 $C_{i}$, 상자 내 시간($t$)이 지난 후의 농도를 $C_{t}$, 상자 부피를 $V$, 그리고 상자 밖의 농도를 $C_{o}$라고 가정한다면, $\frac{d(VC)}{dt} = q (g/min)$ $\frac{d(VC)}{dt} \rightarrow V\frac{dC}{dt} + C\frac{dV}{dt}\cdots$ⓐ $V$ is constant, $\frac{dV}{dt}=0$ $\therefore \frac{d(VC)}{dt} \rightarrow V\frac{dC}{dt} = q$ 시간에 따라 변하는 부하량(부피 x 농도)을 배출량 $q$로 두는 식을 부피와 농도에 따라 전개해 볼 수 있다.(ⓐ) 상자 부피는 시간에 따라 변하지 않으므로, $\frac{dV}.. 이전 1 ··· 13 14 15 16 17 18 19 ··· 6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