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보기 (324) 썸네일형 리스트형 연소의 색깔과 온도 / 고온체의 색깔과 온도 고온체란 고온의 물체를 의미한다. 고온체의 색깔과 온도는 연소의 색깔과 온도라고 볼 수 있다. 색 온도(℃) 담암적색 522 암적색 700 진홍색 750 적색 850 휘적색(주황색) 950 황색 1,050 황적색 1,100 백색(백적색) 1,300 휘백색 1,500 이상 05강 리얼리티의 상대성 인문학과 공학의 만남 05강 리얼리티의 상대성 ※ 필자의 의견과 생각 정리는 보라색 글씨로, 강의자가 강조한 내용은 굵게 표시하였습니다.※ 이 글은 강의를 듣고 필자가 사견을 바탕으로 재구성한 것입니다. 따라서 본 강의 내용과 다른 부분이 있을 수도 있습니다. ---------------지난 과제-----소설과 영화는 어떻게 다를까? 은교를 예로 들어보면 다음과 같다. 소설 - 분리된 시점(이적요의 시점, 서지우의 시점), 국내외 문호들의 대사를 인용함.영화 - 카메라의 외부적 시점(영상 미학) 영상의 장점은 상상의 과정을 거치지 않고 바로 보는 이에게 전달함으로써 강렬함을 선사한다. 즉, 이미지가 상상을 대신하는 셈이다. 소설과 영화는 다르다. 각자 장점과 제한이 뚜렷하다. 그 제한을 뛰어넘으려는 시도.. 04강 스토리와 담화 인문학과 공학의 만남 04강 스토리와 담화 ※ 필자의 의견과 생각 정리는 보라색 글씨로, 강의자가 강조한 내용은 굵게 표시하였습니다.※ 이 글은 강의를 듣고 필자가 사견을 바탕으로 재구성한 것입니다. 따라서 본 강의 내용과 다른 부분이 있을 수도 있습니다. 괴담은 우리 시대의 공포와 상실을 표현하고 이를 공유하고자 하는 욕망의 산물이다. 물론 공포의 책임을 누군가에게 떠맡기려 하는 심리도 없지 않아 있다. 어쨌든 모든 이야기는 이야기가 전하려고 하는 진실이 포함되어 있고, 그것을 이해하는 행위가 바로 이야기의 공유이다. 그렇다면 이야기는 어떻게 구성될까? 아래는 강의 내용을 목차형으로 정리해놓은 것이다. 이야기 = 스토리 + 담화 ▶ 스토리 - 서사물의 '무엇' - 작중인물 - 사건과 플롯, 우연(우연이.. 03강 이야기의 매혹 인문학과 공학의 만남 03강 이야기의 매혹 ※ 필자의 의견과 생각 정리는 보라색 글씨로, 강의자가 강조한 내용은 굵게 표시하였습니다.※ 이 글은 강의를 듣고 필자가 사견을 바탕으로 재구성한 것입니다. 따라서 본 강의 내용과 다른 부분이 있을 수도 있습니다. 이번 강의는 공학과 인문학의 만남과는 동떨어져있다. 이야기가 주는 매혹의 이해를 위한 강의라 하겠다. 인물이 나(누군가)와 같거나, 다른 이야기. 실제로는 일어날 수 없는, 일어나서는 안 되는, 혹은 실제로 내가 겪은 그 일이 일어나는 이야기. 이 이야기들은 상반된 현상임에도 모두 재미있는 이유는 이야기의 옳고 그름을 떠나 이야기 자체가 주는 깊은 매력이 있기 때문이다. 인간은 태초부터 이야기하는 존재이다. 프로이트는 이를 '가족 로망스(가족 로맨스).. 02강 이야기와 공학 인문학과 공학의 만남 02강 이야기와 공학 ※ 필자의 의견과 생각 정리는 보라색 글씨로, 강의자가 강조한 내용은 굵게 표시하였습니다. ※ 이 글은 강의를 듣고 필자가 사견을 바탕으로 재구성한 것입니다. 따라서 본 강의 내용과 다른 부분이 있을 수도 있습니다. 스토리는 인문학에만 있는가? - 공학에도 이야기는 있다. 공학의 발달에 따라 이야기는 변화한다. 또한, 상상으로 꾸며진 이야기는 과학 기술의 발전을 이끄는 힘이 된다. 소설, 영화 그리고 드라마는 상상으로 꾸며진 이야기를 담고 있다. 이것들을 이야기라고 할 수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다시 말해, 이야기의 성격(서사성)은 어떻게 구분하는가? 그전에 우리가 이야기라고 할 수 있는 것들을 살펴보자. 소설, 영화, TV 드라마, 동굴의 벽화, 사찰의 십우도.. 이전 1 ··· 11 12 13 14 15 16 17 ··· 6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