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보기

(324)
17강 스토리텔링과 공학 (2) 完 인문학과 공학의 만남 17강 스토리텔링과 공학 (2) ※ 필자의 의견과 생각 정리는 보라색 글씨로, 강의자가 강조한 내용은 굵게 표시하였습니다.※ 이 글은 강의를 듣고 필자가 사견을 바탕으로 재구성한 것입니다. 따라서 본 강의 내용과 다른 부분이 있을 수도 있습니다. 공학도를 위한 대학 기초 소양 교육의 관점에서 본 인문학의 필요성 마지막 강의 인문학은 공학도에게 왜 필요한가?기술 혁신으로의 '기술 돌파'는 이제 어렵다. 융합(Fusion)만이 기술 혁신을 이룰 수 있는 시대가 온 것이다. 융복합화는 이미 글로벌 IT 업계에서는 미래의 흥망을 가르는 핵심 요소로 부상했다. 기술 기업의 대표 주자격인 구글은 올해 채용 대상 6000명 중 5000명을 인문학 전공자로 채용하며 연구 개발의 융복합화를 추진하고..
16강 스토리텔링과 공학 (1) 인문학과 공학의 만남 16강 스토리텔링과 공학 (1) ※ 필자의 의견과 생각 정리는 보라색 글씨로, 강의자가 강조한 내용은 굵게 표시하였습니다.※ 이 글은 강의를 듣고 필자가 사견을 바탕으로 재구성한 것입니다. 따라서 본 강의 내용과 다른 부분이 있을 수도 있습니다. 공학과 인문학은 근원적인 면과 이론적인 면에서는 별개의 것일 것 같지만, 생산 과정이나 생산 목적들을 두루 살펴보면 동질적 요소가 많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공학은 주로 표나 식으로 표현하는데 이 역시 이야기를 하고자 함이다. 즉, 이야기는 공학도가 이미 지닌 개념 중 하나라고 보는 것이 옳다. 앞으로 공학의 이야기가 인문학의 이야기와 어떻게 같고, 무엇이 다른지 살펴보고자 한다. 스토리텔링의 기초적 이해스토리는 인문학에만 있는 것이 아니다..
[Python 3] 분수 표시 및 분수 연산 Python에서는 fractions 모듈로 분수를 표현할 수 있다. 이 모듈은 표준 라이브러리라 따로 설치할 필요는 없다. 이 모듈은 클래스 Fraction을 정의하므로 이것을 Import하면 된다. Fraction(분자, 분모) 식으로 분수를 표현한다. >>> from fractions import Fraction >>> Fraction(1, 3) + Fraction(1, 3) Fraciton(2, 3) $\frac{1}{3}+\frac{1}{3}$을 하여 $\frac{2}{3}$가 나온 모습이다. 분수와 정수로 이루어진 수식은 분수로 나오지만, 부동소수점을 포함한 수식일 경우엔 결과가 분수로 나오지 않는다. >>> Fraction(3, 4) + 2.5 3.25 >>> Fraction(1, 2) + F..
15강 시와 도시 (2) 인문학과 공학의 만남 15강 시와 도시 (2) ※ 필자의 의견과 생각 정리는 보라색 글씨로, 강의자가 강조한 내용은 굵게 표시하였습니다.※ 이 글은 강의를 듣고 필자가 사견을 바탕으로 재구성한 것입니다. 따라서 본 강의 내용과 다른 부분이 있을 수도 있습니다. 도시적 감수성의 여러가지 양상 2⑤ 생명해가 졌는데도 어두워지지 않는다겨울 저물녘 광화문 네거리 …(중략)… 어둠도 이젠 병균 같은 것일까밤을 끄고 휘황하게 낮을 켜 놓은 권력들 …(중략)… 엽록소를 버린 겨울나무들한밤중에 이상한 광합성을 하고 있다광화문은 광화문(光化門) …(중략)… 다가오는 봄이 심상치 않다이문재, 「광화문, 겨울, 불꽃, 나무」출처 : 이문재, 『제국호텔』, 문학동네, 2004.12.시인은 현대 문명이 자연과 생태계를 왜곡시키..
14강 시와 도시 (1) 인문학과 공학의 만남 14강 시와 도시 (1) ※ 필자의 의견과 생각 정리는 보라색 글씨로, 강의자가 강조한 내용은 굵게 표시하였습니다.※ 이 글은 강의를 듣고 필자가 사견을 바탕으로 재구성한 것입니다. 따라서 본 강의 내용과 다른 부분이 있을 수도 있습니다. 대부분 시에서는 사회를 부정적으로 보려는 태도가 엿보이는데, 그럴수록 인문학과 공학의 융합이 필요하다. 차이점공통점시도시참조자개인다중 - 정신 작용의 산물- 인간의 삶에 영향을 미침현실과의 관계독립적종속적 영향력간접적직접적 지향점정신적 물질적 일상생활 공간으로서의 도시 일상 공간은 시인들에게 많은 영감을 가져다준다. 공원은 일생의 용도가 끝난 노인의 슬픈 운명을 말해주는 장소(배용제, 「발효된 울음에 대하여」)로 탈바꿈하기도 하며, 차가 들끓는 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