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보기

(324)
면적도표 Area chart 계획 설계를 할 때 필요한 도면이다. 소요부지의 면적비율을 산출하여 검토작업을 하는 데 쓰인다.
용존공기부상법 DAF : Dissolved Air Flotation 입자의 부상분리법 가운데 하나. 5~7기압 하에서 7분 이내로 공기를 용존시킨 후, 이 다량의 공기를 부상조에 노출해 떠오르게 한다. 이 떠오르는 공기 거품에 제거 대상 부유물이 흡착해 부상하면 스키머로 제거하는 방법이다. 완전 자동운전이 가능하며, 설비가 간단하고 부지 소요면적도 적다. 실무에 가장 많이 이용되는 방법이다. 하지만 유지관리비가 많이 든다는 단점이 있다.
유휴 면적(遊休 面積) 유휴란 '사용하지 아니하고 놀린다'는 의미다. 즉, 유휴 면적을 적게 설계하라는 의미는 이용 가능한 면적을 최대한 활용하라는 의미와 같다.
소류속도, 관류속도, 일류속도 소류속도, 관류속도, 일류속도 모두 동일한 말이다. 바닥에 침전된 침전물들이 씻겨나가는 유속의 크기를 말한다. $where,$$K$ : 입자종류에 따르는 계수 (모래 : 0.04)$g$ : 중력가속도 (9.8$m/s^{2}$)$S$ : 침전물의 비중 또는 밀도$d_{p}$ : 침전물의 직경 ($m$)$f$ : Darcy-weisbach 마찰계수(0.02~0.03)
Kirschmer의 손실수두 공식 Kirschmer’s formula 키시머Kirschmer식은 스크린부의 손실수두를 계산하는 데 사용한다. 이해를 돕기 위해 영문을 혼용하여 서술한다. where, $h_{L}$ = 손실수두 ($m$) ······ loss of head $C$ = 스크린의 형상계수 (1.67~2.42의 값을 가짐) ······ screen loss coefficient $t$ = 스크린의 두께 ($m$) ······ thickness of bars $b$ = 스크린의 유효간격 ($m$) ······ clear spacing between bars $V$ = 스크린 앞에서의 유속 ($m/sec$) ······ velocity of approach $α$ = 스크린의 설치각도 (degree) ······ angle of bar incl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