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환경공학/소음진동공학

(19)
우선 회화 방해 레벨 PSIL : Preferred Speech Interference Level 회화 방해 레벨(SIL)을 새롭게 개정한 레벨. SIL이 주파수 대역 600~1200, 1200~2400, 2400~4800(㎐)에서 구한 음압레벨의 산술평균이라면, PSIL은 소음을 1/1 옥타브 밴드로 분석한 중심 주파수 500, 1000, 2000(㎐)에서 구한 음압레벨의 산술 평균치다. PSIL에 대한 자료는 화자 간의 거리에 지배된다. 아래 그래프를 참고하자. 그래프 출처 김재수·주덕훈. "작업환경소음 규제기준 제안에 따른 소음 피해 저감 효과 분석". 『대한설비공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2012.6, pp. 519-522.
회화 방해 레벨 SIL : Speech Interference Level 회화 방해 수준, 회화 방해도 등으로도 불린다. 약자는 SIL인데, 음의 세기 레벨(SIL : Sound Intensity Level)과 혼동하지 않도록 주의하자. SIL은 1947년에 Beranek가 회화 방해에 대한 평가 척도가 필요하다고 생각, 제안한 것에서 시작한다. 소음의 강약이 회화를 방해하는 정도를 나타내는 평가방법으로, 소음을 3개의 옥타브 밴드로 분석한 음압레벨을 산술 평균한 값이다. 3개의 옥타브 밴드는 600~1200, 1200~2400, 2400~4800(㎐)이다. 즉, 이 옥타브 밴드에서 소음의 강도(㏈)를 측정해 평균을 낸 것이다. SIL과 회화 가능 거리의 관계 그래프를 찾는데, 외국 그래프는 회화 거리 단위로 피트를 쓰는 데다 깔끔하고 괜찮은 것이 없고 국내 자료에선 찾기가 ..
등가 소음도 Equivalent sound Level $L_{eq}$로 표현한다. 음압 레벨이 항상 변동하는 소음을 표기 · 평가하는 방법이다. 변동 소음 에너지를 시간상으로 평균하여 대수 변환한 것을 등가 소음도라고 한다. 즉, 소음도의 파워 평균이라고 보면 된다. where, $f_{i}$ : $L_{i}$의 지속 시간율 $L_{i}$ : i번째의 소음 레벨 예를 들어, 집 앞 공사장에서 소음이 발생하여 등가 소음도를 산출하고자 30분 동안 측정했을 때, 처음 10분은 60dB(A), 마지막 20분엔 80dB(A)이 측정되었다고 가정해보자. 이러한 경우 등가 소음도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평균 흡음률 Average sound Absorption Coefficient 방을 설계할 때, 벽체마다 서로 다른 마감 재료를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이럴 경우, 마감 재료마다 흡음률이 다르기에, 이를 평균한 것이 실내 평균 흡음률이다. 재료별 흡음력을 구해 재료 면적의 총합으로 나눠 평균 흡음률을 구할 수 있다. where, $S_{i}$ : 사용 재료별 면적($m^2$) $\alpha _{i}$ : 흡음률 높이(Z축)는 10m, 왼쪽길이(Y축)은 6m, 오른쪽 길이(X축)는 5m라고 가정하면, 천장과 바닥은 5m×6m, 옥색 벽체는 10m×6m, 붉은색 벽체는 10m×5m가 된다. 바닥에 사용한 자재의 흡음률이 0.1이고, 벽체에 사용한 자재의 흡음률이 0.5이며, 천정에 사용한 자재의 흡음률이 0.2라고 한다면, 아래와 같이 평균 흡음률을 산출할 수 있다. 천장 면적 및 흡..
흡음 챔버 Sound Attenuating Chamber 감쇠치(감음량) 계산식 소음챔버 감음량 계산식은 다음과 같다. $where,$$\bar{\alpha}$ : 챔버 내부 흡음재의 평균 흡음률$S_{0}$ : 챔버 출구의 단면적($m^{2}$)$S_{w}$ : 챔버내의 표면적($m^{2}$)$d$ : 입구와 출구 사이의 경사길이($m$)$\vartheta$ : 입구와 출구 사이의 각도$A$ : 소음챔버의 흡음 면적 $d$와 $\vartheta$를 살피기 전, 흡음 챔버의 구조에 대해 알아볼 필요가 있다. 아래는 3개 회사에서 가져온 흡음 챔버 이미지이다. (주)엔에***에서 생산한 챔버 This image is from www.nsv.co.kr (주)영진****에서 생산한 챔버 This image is from http://www.yjvnc.co.kr/NOISE_03.html 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