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창고/보관

(89)
EU RoHS RoHS는 Restriction of Hazardous Substances 혹은 Restriction of the use of Hazardous Substances in EEE의 약자이다. EU RoHS는 2006년 07월 01일부터 유럽연합 역내에서 제조 혹은 판매되는 '전기 · 전자제품'은 6대 유해물질의 함유를 제한한다는 일종의 특정 위험물질사용제한지침이다. 여기서 말하는 6대 유해물질이란, 납, 수은, 카드뮴, 6가 크롬, PBBs, PBDEs를 말한다. 예외 조항은 다음과 같다. 소형 형광등 내 램프 개당 5mg을 초과하지 않는 수은 CRT, 전기부품과 형광 튜브를 구성하는 유리 내의 납 고온에서 용융되는 솔더에 함유된 납 참고자료 기문봉 외 5인,『유해폐기물처리』, 신광문화사, 2008.8.10.
위해성 Risk 위해성은 어떤 사건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위험 확률을 의미한다. 환언하면, 어떤 일이 일어날 수 있는 수학적인 확률이다. Hazard X Exposure = Risk 유해성 X 노출 = 위해성 위의 식처럼 위해성은 어떠한 유해성을 가진 물질이 노출될 때 해로움을 겪게 될 확률이라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엄청난 유해성을 가지고 있어도 노출이 되지 않는다면 위해성은 낮다. 즉, 위해성을 낮추려면 접촉할 기회를 낮추는 것이 좋은 방법이다. 예를 들어, 압정은 아기에게 유해성이 굉장히 높다. 밟거나, 삼키기라도 하면 큰일이 난다. 하지만 압정을 아기가 찾을 수 없는 깊은 서랍 속에 넣어놓거나, 높은 곳에 둔다면 크게 위험한 일은 일어나지 않을 것이다. 이것이 노출을 줄인다는 의미이다. 법적인 규제, 안전에 대한 ..
곡률계수(曲率係數) Coefficient of Curvature 입도 분포곡선에서 알 수 있는 특성 중 하나. 균등계수와 함께 흙의 입도 분포를 판단할 때 사용되는 계수이다. 주로 사질토를 판단하는 데 쓰인다. 곡률계수는 다음과 같이 나타낸다. D10 : 입도분포곡선에서 누적 중량의 10%가 통과하는 입자의 체눈 크기D30 : 입도분포곡선에서 누적 중량의 30%가 통과하는 입자의 체눈 크기D60 : 입도분포곡선에서 누적 중량의 60%가 통과하는 입자의 체눈 크기
균등계수(均等係數) Uniformity Coefficient D10은 입도분포곡선에서 중량 백분율의 10%에 해당하는 입경을 말하며, D60은 60%에 해당하는 입경을 말한다.균등계수는 D60과 D10의 비로 나타낼 수 있으며, 아래와 같다. 환원하면, 처리물의 중량 백분율의 60%가 통과되는 입경을 중량 백분율의 10%가 통과되는 입경으로 나눈 것이다. 그렇다면 균등계수가 어디에 필요한 것일까? 일반적으로 어떤 물질의 입경 입도 분포, 배분의 간단한 계수법으로 사용된다. 흙으로 치면 그 흙을 구성하고 있는 굵은 입자, 가는 입자, 미립자의 입도 배분에 대한 표시법이 된다. 즉, 흙의 입경이 고른지 아닌지를 대략 알아볼 수 있는 계수인 셈이다. 균등계수가 1에 가까워지면 입자의 크기(구성)가 고루 균등하다는 것을 나타낸다. 그러나 수치가 크면 클수록 입경의 크기 ..
평균입경(平均粒徑) '50% Diameter of Particle' or 'Median Diameter' 앞서 유효입경에 대해 서술한 바 있는데, 이 유효입경이 입도분포곡선에서 중량 백분율의 10%에 해당하는 입경을 말한다면 이 평균입경은 입도분포곡선에서 중량 백분율의 50%에 해당하는 입경, 즉 통과질량 백분율이 50%가 되는 입경을 의미한다. D50 혹은 dp50으로 표시한다.